티스토리 뷰
목차
1. 통신비, 줄일수 있는 부분부터 줄이자.
혼자 사는 1인 가구나 은퇴 이후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어르신들에게 있어 고정비용은 부담이 크다. 특히 매달 나가는 통신비는 생각보다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막상 요금제 내역을 살펴보면, 정작 사용하지도 않는 데이터나 통화 시간이 포함된 고가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하루에 통화 10분도 하지 않으면서 무제한 통화 요금제를 쓰는 어르신도 있고, 데이터는 와이파이로만 사용하는데 10GB 이상 요금제를 유지하는 1인 가구도 있다. 결국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줄이는 첫걸음은, 자신의 사용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다.
2.가성비 요금제, 알뜰폰에서 답을 찾다.
최근에는 알뜰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저렴하면서도 실속 있는 요금제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알뜰폰은 기존 이동통신 3사(LG U+, KT, SKT)의 망을 빌려 사용하는 방식이라, 통화 품질이나 데이터 속도에서 큰 차이가 없다. 예를 들어, 월 1만원대에 통화 100분, 문자 100건, 데이터 1GB를 제공하는 요금제도 존재한다. 어르신이라면 통화 위주의 요금제를, 1인 가구라면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선택하는 게 합리적이다.
통신사별 추천 요금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SKT 망 - SK 7mobile LTE 유심 (3GB/100분) 요금제: 월 4,900원, 데이터 3GB, 통화 100분, 문자 100건
📱 SK 7모바일 요금제 보러가기 (3GB/100분, 월 4,900원)
- KT 망 - 슈가모바일 7GB+1Mbps 요금제: 월 8,000원 (7개월 후 21,980원), 데이터 7GB + 소진 후 1Mbps, 통화/문자 무제한
🍭 슈가모바일 요금제 보러가기 (7GB + 1Mbps 무제한, 월 8,000원)
- LG U+ 망 - 아이즈모바일 1GB+ 무제한 요금제: 월 6,490원 (24개월 고정), 데이터 1GB + 1Mbps 무제한, 통화/문자 무제한
👀 아이즈모바일 요금제 보러가기 (1GB+무제한, 월 6,490원)
각 통신사는 프로모션을 자주 진행하므로 요금제 가입 전 최신 혜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저렴한 기본요금에 데이터나 통화량을 추가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각 요금제는 프로모션 기간과 조건에 따라 요금이 변동될 수 있으니 가입 전에 해당 통신사 공식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3.가입 방법부터 사용 팁 까지, 알뜰폰 A to Z
알뜰폰 요금제 가입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먼저 자신이 사용할 요금제를 정하고, 해당 통신사 홈페이지나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유심을 구매한다. 이후 휴대폰에 유심을 삽입하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개통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셀프 개통을 진행하면 된다. 번호 이동도 가능하므로 기존 번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어르신들이 직접 하기 어려운 경우, 자녀나 보호자가 함께 도와주는 것이 좋다. 또한, 요금제 변경이나 해지, 잔여 데이터 확인 등도 대부분 앱을 통해 손쉽게 처리할 수 있어 스마트폰에 익숙한 1인 가구에게는 매우 편리하다. 마지막으로, 알뜰폰 통신사는 일부 부가 서비스(예: 멤버십 할인)가 제외되는 경우가 있으니, 해당 서비스 사용 여부도 함께 고려하면 더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이다.
'돈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놀이에 딱! 2025 봄나들이 원피스 추천과 코디 꿀팁 총정리 (0) | 2025.04.11 |
---|---|
에어컨 청소 안 하면 생기는 충격적인 결과 (+삼성/LG/캐리어 의뢰 꿀팁) (1) | 2025.04.04 |
2025년 냉방비 지원사업 총정리|에너지바우처부터 냉방설비 보조금까지 (0) | 2025.03.29 |
신차 배송 받고 나면 꼭 해야 할 일 5가지|첫 점검 체크리스트 (0) | 2025.03.28 |
2025 태안 봄꽃정원&빛축제 총정리|입장료·야경·예매 링크까지! (0) | 2025.03.28 |